Launchkey는 다양한 인코더 및 패드 모드를 통해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의 인코더 모드를 사용하여 플러그인과 사용자 DAW의 믹서, 전송을 제어하고 인코더를 사용하는 DAW 트랜스포트 모드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한 Launchkey의 패드들을 DAW 및 패드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의 DAW 제어 옵션 중 다수는 특정 DAW에 국한되며, 나머지는 공통적인 특징들입니다. DAW 특징을 두 섹션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DAW에 공통적인 특징
-
특정 DAW에 국한되는 특징
공통 DAW 제어 섹션과 사용자 DAW 관련 섹션 정보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워크플로우에 Launchkey을 통합하는 방법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통 DAW 제어는 지원되는 모든 DAW에서 작동하는 Launchkey의 기능들과 관련됩니다.
이 섹션을 읽고 나서 사용자 DAW 관련 섹션을 읽을 수 있습니다.
Launchkey을 DAW로 처음 연결할 때 Launchkey의 섹션들은 기본적으로 다음 모드들로 되어 있습니다:
제어 영역 |
디폴트 모드 |
---|---|
인코더 |
플러그인 |
드럼 패드 |
DAW |
페이더 |
볼륨 |
페이더 버튼 |
암 |
트랙 버튼의 기능은 모든 DAW에서 동일합니다: 트랙> 을 누르면 다음 트랙으로 이동하고, < 트랙 을 누르면 이전 트랙으로 이동합니다.
트랙을 이동하면 Launchkey 61의 화면에 새로운 트랙의 이름이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시프트를 누르고 있으면 트랙 버튼에 불이 켜져 트랙을 이동할 수 있음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트랙 1에 있을 경우 다음 트랙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 트랙 버튼에는 불이 켜지지 않습니다.
인코더 모드는 Launchkey 61의 인코더를 다른 제어 단위들에 지정합니다.
인코더 모드를 변경하려면 시프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맨 윗줄 패드 중 하나를 누릅니다.
DAW 제어와 관련된 인코더 모드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플러그인 - 현재 주력하는 플러그인을 제어합니다.
-
믹서 - 트랙의 레벨 및 팬을 제어합니다.
-
전송 - DAW 믹서 전송 제어 기능을 제어합니다.
-
트랜스포트 - 재생/일시 중지 루프/중지 버튼을 넘어 DAW 트랜스포트의 요소들을 제어합니다.
각 DAW 인코더 모드의 추가 정보는 다음 섹션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모드는 인코더를 사용자 DAW 내 현재 주력하는 플러그인 제어로 지정합니다. DAW의 기존 플러그인 이펙트, 인스트루먼트, 외부 플러그인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DAW별로 플러그인 제어 기능을 인코더로 지정하는 고유의 방식이 있으므로 사용자 DAW 관련 섹션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는 사용자 DAW 어레인지먼트 보기 제어 기능을 인코더로 옮겨 해당 프로젝트의 탐색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화면에 다음과 같은 제어 기능들의 줄임말이 표시되며, 관련 설명은 아래 표와 다음 섹션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코더 |
기능 |
줄임말 |
---|---|---|
1 |
트랜스포트 위치(스크럽) |
Scrb |
2 |
줌 |
줌 |
3 |
루프 시작 지점 |
LPS |
4 |
루프 종료 지점 |
LPE |
5 |
마커 선택 |
Mark |
6 |
해당 없음 |
|
7 |
해당 없음 |
|
8 |
템포(BPM) |
BPM |
참고
이 모드는 Ableton Live의 경우와 약간 다릅니다. 추가 정보는 Live의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을 참조하세요.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는 인코더 1이 스크럽이나 플레이백 위치를 제어합니다. 사용자의 비트 어레인지먼트에 걸쳐 인코더가 왼쪽 및 오른쪽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합니다.
이때 화면에 현재 재생 헤드 위치가 막대와 비트로 표시됩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는 인코더 2가 줌 레벨을 올리고 내립니다.
줌 인코더를 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면 줌인,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줌아웃이 됩니다.
이 때 화면에 마지막 줌 변경 옵션이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
|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 인코더 3과 4는 사용자 DAW의 루프 시작 지점과 루프 종료 지점을 제어합니다.
루프 지점을 변경하면 변경한 루프 지점과 그 위치가 화면에 막대와 비트로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는 인코더 5가 사용자 DAW의 재생 헤드를 DAW 내 설정된 마커들 사이로 이동합니다.
인코더를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비트 내에서 재생 헤드가 다음이나 이전의 마커로 이동합니다.
마커를 이동하면 이동한 마커의 이름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프로젝트 내 마커를 셋업하지 않은 경우 마커 선택 인코더가 아무 역할도 하지 않으며, 인코더를 이동할 때 화면에 '마커 없음'이 표시됩니다.
마커 추가 방법은 DAW에 따라 다릅니다. 사용자 DAW에 마커를 추가하는 방법은 특정 DAW를 위한 사용자 가이드를 참조하세요.
사용자 DAW에서 페이더의 기능은 단 한 가지입니다; 현재 트랙 뱅크의 볼륨 레벨 제어입니다.
첫 페이더 8개는 트랙 뱅크를 제어하며, 9번째 페이더는 사용자 DAW 내 주요 출력 레벨 제어를 담당합니다.
페이더를 이동하면 해당 트랙의 이름과 레벨(dB) 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페이더 버튼에는 '선택'과 '암'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페이더 버튼 모드를 변경하려면 9번째 페이더 버튼을 누릅니다.
페이더 버튼 모드를 변경하면 선택한 모드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
|
참고
선택 모드에서는 페이더 버튼에 트랙 색의 불이 켜집니다. 선택된 트랙에는 흰색 불이 켜집니다.
암 모드에서는 페이더 버튼에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 레코드 암이 적용된 트랙에는 어두운 빨간색 불이, 적용되지 않은 트랙에는 밝은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선택 모드에서 페이더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DAW 내 해당 트랙이 선택됩니다. 이를 통해 플러그인 인코더 모드 내 트랙의 플러그인에 대해 트랙을 재생하거나 더 세밀한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선택 모드에서는 페이더 버튼에 트랙 색의 불이 켜집니다. 선택된 트랙에는 흰색 불이 켜집니다.
트랙을 선택하면 해당 트랙의 이름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DAW 제어 옵션에서 패드에는 'DAW'와 '드럼'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시프트 + 드럼 패드 모드 버튼을 사용하여 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DAW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쓰는 DAW에 따라 패드들의 기능을 바뀝니다. 본 사용 설명서의 DAW 특정 섹션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하세요.
드럼 모드에서는 패드들이 일반적인 드럼 패드 모드 에서와 동일한 방식을 따릅니다.
하지만 DAW 내에서 드럼 모드를 사용할 때는 패드에 현재 선택된 트랙 색의 불이 켜져 제어 중인 트랙을 표시합니다.
트랜스포트 버튼은 사용자 DAW의 트랜스포트 기능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시프트 버튼을 사용해 추가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버튼 |
기능 |
시프트/보조 기능 |
|
---|---|---|---|
재생 |
재생 시작. |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재생을 누르면 플레이백이 일시 정지 또는 계속됩니다. |
|
정지 |
재생 중지. |
중지 버튼을 두 번째로 누르면 재생 헤드가 프로젝트 시작 지점으로 복귀됩니다. |
|
녹음 |
사용자 DAW의 주요 녹음 기능을 토글합니다. |
||
루프 |
루프 켜짐/꺼짐을 토글합니다. |
Launchkey의 워크플로우 버튼들로 DAW 기능에 빠르게 접근해 워크플로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버튼 |
기능 |
시프트 기능 |
|
---|---|---|---|
캡처 MIDI |
캡처 MIDI(사용자 DAW 내 사용 가능한 경우 후향 MIDI 녹음) 를 토글합니다. |
||
메트로놈 |
메트로놈 켜짐 또는 꺼짐을 토글합니다. |
||
퀀타이즈 |
마지막으로 녹음되거나 선택된 MIDI 클립에서 사용자 DAW의 퀀타이즈 기능을 토글합니다. |
||
실행 취소 |
사용자 DAW의 실행 취소 기능(Ctrl/Command + Z 등) 을 토글합니다. |
사용자 DAW의 재실행 기능(Shift + Ctrl/Command + Z 등) 을 토글합니다. |
Launchkey의 공통 DAW 제어 에 더해, Ableton Live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화된 통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Launchkey을 연결하고 Ableton Live를 열면 클립 주변으로 2×8 포커스 링이 보입니다. 이 링은 사용자 Launchkey의 패드 8개 단위의 두 줄을 나타냅니다.
Live에서 강조 표시된 트랙이 현재 선택된 트랙입니다. 제어와 관련된 모든 트랙(예: Launchkey의 인코더)이 선택된 트랙에 영향을 미칩니다. 선택된 트랙을 변경하려면
-
Launchkey의 화면에 새로 선택된 트랙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
트랙에 '소프트 암'이 적용되어 있으면 즉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
-
제어와 관련된 모든 트랙(예: Launchkey의 인코더)이 새로 선택된 트랙에 영향을 미칩니다.
포커스 링은 현재 선택 영역 내 8번째 트랙을 지나 트랙을 이동하는 경우에만 움직입니다.
트랙 8개를 뱅크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트랙 <> 버튼을 누릅니다. 포커스 링이 움직이면서 해당 트랙의 포커스 영역 시작점이나 종료점을 포함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뱅킹하는 방향에 따라 좌우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Launchkey의 인코더 모드는 공통 DAW 인코더 모드 를 따릅니다. 하지만 플러그인 제어로 Ableton의 장치들에 추가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인코더 모드에서는 현재 선택된 장치나 인스트루먼트 내에서 한번에 파라미터 8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인코더로 맨 위의 파라미터 8개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인코더 뱅크 버튼을 사용하면 장치별 제어 옵션의 추가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장치 이름과 제어 뱅크 제목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는 사용자 DAW 어레인지먼트 보기 제어 기능을 인코더로 옮겨 해당 프로젝트의 탐색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화면에 다음과 같은 제어 기능들의 줄임말이 표시되며, 관련 설명은 아래 표와 다음 섹션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코더 |
기능 |
줄임말 |
---|---|---|
1 |
어레인지먼트 보기 플레이백 위치 |
플레이백 위치 |
2 |
줌 수평(플레이백 위치 대비) |
줌 수평 |
3 |
줌 수직(트랙 높이) |
줌 수직 |
4 |
루프 시작 지점 |
루프 시작 |
5 |
루프 종료 지점 |
루프 종료 |
6 |
마커 선택 |
마커 선택 |
7 |
해당 없음 |
|
8 |
템포(BPM) |
템포 |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는 인코더 1이 스크럽이나 플레이백 위치를 제어합니다. 사용자의 비트 어레인지먼트에 걸쳐 인코더가 왼쪽 및 오른쪽으로 재생 헤드를 이동합니다.
이때 화면에 현재 재생 헤드 위치가 막대와 비트로 표시됩니다.
Live에는 줌인이 지정된 인코더 2개가 있습니다: 줌 수평 및 줌 수직입니다.
어레인지먼트 보기에서 줌 수평은 트랙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지만 줌인과 줌아웃을 통해 플레이백 위치를 줌 중앙으로 유지합니다.
세션 보기에서 줌 수평 인코더는 트랙 사이를 이동합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 인코더 3과 4는 사용자 DAW의 루프 시작 지점과 루프 종료 지점을 제어합니다.
루프 지점을 변경하면 변경한 루프 지점과 그 위치가 화면에 막대와 비트로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트랜스포트 인코더 모드에서는 인코더 5가 사용자 DAW의 재생 헤드를 DAW 내 설정된 마커들 사이로 이동합니다.
인코더를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비트 내에서 재생 헤드가 다음이나 이전의 마커로 이동합니다.
마커를 이동하면 이동한 마커의 이름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프로젝트 내 마커를 셋업하지 않은 경우 마커 선택 인코더가 아무 역할도 하지 않으며, 인코더를 이동할 때 화면에 '마커 없음'이 표시됩니다.
마커 추가 방법은 DAW에 따라 다릅니다. 사용자 DAW에 마커를 추가하는 방법은 특정 DAW를 위한 사용자 가이드를 참조하세요.
Ableton Live에서는 Launchkey에 패드 모드 3개가 있습니다.
-
클립 - 클립을 실행합니다.
-
시퀀서 - Launchkey의 패드들로부터 MIDI 클립을 편집 및 시퀀싱합니다.
-
드럼 - Ableton의 드럼 랙 장치를 제어합니다.
클립 또는 시퀀서 패드 모드에 접근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9번 패드(DAW) 를 누릅니다. 한 번 누르면 클립, 두 번 누르면 시퀀서에 접근합니다. 이 때 화면에 사용자가 DAW 패드를 누를 때 위치한 패드 모드가 표시됩니다.
|
|
드럼 패드 모드에 접근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드럼 버튼인 패드 10번을 누릅니다.
클립 패드 모드에서는 Launchkey을 통해 라이브 연주를 제어할 수 있어 Ableton의 세션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사용자가 클립 실행, 중지, 트랙 음소거 및 솔로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클립 실행 모드에서 패드들은 Live의 세션 보기 내 2×8 포커스 링을 나타냅니다. 각 패드는 세션 보기에서 클립을 제어합니다.
패드들은 상태에 따라 몇 가지 방식으로 불이 켜집니다.
-
불이 꺼진 패드는 빈 클립 슬롯입니다.
-
사용 가능한 클립에는 Live 내 클립과 같은 색의 불이 켜집니다.
-
클립에 큐를 적용했을 때는 패드가 녹색으로 빠르게 깜빡이며, 클립이 재생 중일 때는 녹색으로 느리게 깜빡입니다.
-
녹음을 위해 클립에 큐를 적용했을 때는 패드가 빨간색으로 빠르게 깜빡이며, 녹음 중일 때는 빨간색으로 느리게 깜빡입니다.
씬 전체(클립 한 줄) 를 실행하려면 맨 윗줄 오른쪽에 있는 씬 실행 >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자가 씬 색상을 설정한 상태라면 씬 실행 버튼에 Live 내 씬과 같은 색의 불이 켜집니다.
중지 모드는 맨 아랫줄의 기능을 변경하므로 패드를 누르면 해당 트랙에서 현재 재생 중인 클립이 중지됩니다.
중지 모드에서는 패드에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트랙에 재생 중인 클립이 있을 때는 밝은 빨간색 불이, 트랙에 재생 중인 클립이 없을 때는 어두운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음소거 모드는 맨 아랫줄의 기능을 변경하여 각 트랙의 음소거 상태를 표시하게 합니다. 패드를 누르면 트랙에 음소거가 적용 또는 해제됩니다.
음소거 모드에서는 패드에 주황색 불이 켜집니다; 트랙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밝은 노란색 불이, 트랙이 음소거된 상태에서는 어두운 노란색 불이 켜집니다. 음소거 모드에서 기능 버튼에는 노란색 불이 켜집니다.
Launchkey 61를 통해 Ableton Live의 클립 시퀀서들에 대한 하드웨어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의 패드를 사용해 클립 내 드럼 패턴 및 시퀀스 노트를 생성하고, 인코더를 사용해 사용자 시퀀스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시퀀서 모드에 접근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드럼 패드 9번을 누르면 화면에 패드 모드 시퀀서 2/2가 표시됩니다.
시퀀서 모드에 들어가면 Live 내 선택된 옵션에 따라 패드에 표시되는 사항이 변경됩니다.
선택된 MIDI 트랙은 있으나 선택된 클립이 없습니다. |
시퀀스에 스텝을 추가하면 패드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며, Live가 해당 MIDI 트랙에 대해 선택된 클립 슬롯 내 새로운 클립을 생성합니다. |
선택된 MIDI 트랙과 선택된 클립이 있습니다. |
현재 선택된 MIDI 클립의 시퀀스가 패드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해당 시퀀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클립 내 노트가 없는 경우 패드에 아무 표시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선택된 오디오 트랙이 있습니다. |
패드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경우 MIDI 트랙을 사용해서만 시퀀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Launchkey의 패드 16개는 각각 스텝 시퀀서 16개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언제든지 클립 막대를 볼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노트가 있는 스텝은 트랙 내에서 해당 클립에 대한 트랙 색상의 불이 켜집니다. 비어 있는 스텝에는 불이 꺼집니다. 클립이 재생 중일 때 재생 위치는 흰색 패드로 표시됩니다.
패드 왼쪽에 있는 내림 버튼을 사용해 클립 막대를 한 개 이상 생성 및 편집하여 추가 스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올림 및 내림 버튼으로 스텝 1-16, 17-32 이상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능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림 버튼을 누르면 현재 클립을 복제하고 똑같은 막대가 있는 두 배 길이의 클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각 막대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에는 선택된 MIDI 트랙에 지정된 인스트루먼트에 따라 두 가지 스타일의 시퀀서, 멜로디, 드럼 옵션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노트 입력 방식에 따라 인스트루먼트가 조금씩 달라집니다.
드럼 랙이 있는 MIDI 트랙을 선택하는 경우 드럼 시퀀서를 볼 수 있습니다. 드럼 시퀀서에는 단일 드럼에 대한 노트 시퀀스와 현재 선택된 드럼 랙 패드(예: 스네어 드럼)이 표시됩니다. 현재 선택된 드럼 랙 패드를 변경하면 패드에 표시되는 사항이 바뀝니다.
다른 모든 트랙 유형의 경우 패드들이 멜로디 시퀀서를 사용합니다. 멜로디 시퀀서에서는 노트가 있는 모든 스텝들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폴리포닉 요소를 시퀀스할 수 있습니다.
시퀀서에는 드럼과 멜로디의 두 가지 스타일이 있으므로 노트를 입력하는 방법도 두 가지입니다.
드럼 시퀀서
이 방법은 Ableton의 드럼 랙 장치를 사용하는 MIDI 트랙이 선택되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클립 선택하기 클립이 비어 있으면 패드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며, 클립에 노트가 있으면 선택된 드럼의 활성화된 스텝별로 패드에 불이 켜집니다.
-
드럼 랙 패드를 선택하려면 사용하고자 하는 드럼에 상응하는 키보드 키를 누릅니다(예: 여기서는 D1을 누르면 스네어 드럼이 선택됩니다).
Launchkey의 D1 키를 눌러 스네어 드럼 트랙 선택
스네어 드럼 트랙을 선택한 상태의 Ableton의 드럼 랙
-
선택한 드럼을 지정하려고 하는 시퀀서의 각 스텝별로 패드를 누릅니다. 아래의 예시에서는 스텝 5, 13, 14에 스네어를 추가했습니다.
스네어 드럼이 선택되었을 때의 Launchkey의 패드
선택된 클립에 대한 Ableton의 MIDI 참고 에디터(스네어 드럼 트랙 강조)
시퀀스로부터 노트를 삭제하려면 키를 눌러 삭제하려는 드럼 랙 패드를 선택하고, 삭제하려는 스텝에 대한 패드를 누릅니다.
멜로디 시퀀서
이 방법은 MIDI 트랙에서 드럼 랙을 제외한 모든 인스트루먼트에 적용 가능합니다.
-
클립 선택하기 클립이 비어 있으면 패드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으며, 클립에 노트가 있으면 활성화된 스텝별로 패드에 불이 켜집니다.
-
노트 입력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
키보드에서 입력하려는 노트나 코드를 누른 다음 패드를 눌러 해당 스텝을 추가합니다. 키를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Launchkey이 사용자가 연주한 마지막 키(들) 을 기억하여 상응하는 패드를 눌렀을 때 스텝에 추가합니다.
-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키보드에서 입력하려는 노트(들) 을 연주합니다.
시퀀서 내 노트를 나타내는 Launchkey의 패드
선택된 클립에 대한 Ableton의 MIDI 노트 에디터
-
작은 정보
패드 여러 개를 동시에 눌러서 노트 및 코드를 스텝 여러 개에 동시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의 시퀀서를 사용해 각 스텝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시퀀서 내 노트를 길게 누르면 화면에 노트 편집 설정이 표시되며, 인코더 1-4로부터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Ableton 내 MIDI 클립을 클릭하면 클립이 선택되면서 사용자가 Launchkey의 패드를 사용해 시퀀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한편 Launchkey으로부터 클립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시퀀서 패드 모드에서 이를 실행하려면:
-
맨 윗줄 패드의 오른쪽에 있는 씬 실행 버튼을 누릅니다. 화면에 '시퀀서 선택 클립'이 표시됩니다.
현재 위치한 포커스 링 내에서 사용 가능한 클립이 해당 클립 색상으로 패드에 표시됩니다. 빨간색 클립은 비어 있는 클립 슬롯입니다. ˄ 올림 및 ˅ 내림 버튼과 트랙 <> 버튼을 사용해 포커스 링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선택할 수 있는 클립을 표시하는 Launchkey의 패드들입니다. 비어 있는 클립 슬롯에는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현재 트랙 8개에 대한 포커스링을 표시하는 Ableton의 세션 보기
-
패드를 눌러 해당 클립을 입력하고 시퀀싱을 시작합니다. 클립에 따른 선택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MIDI 클립을 누르면 스텝 입력 보기로 들어가 시퀀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
비어 있는 MIDI 클립을 누르면 슬롯에 새로운 시퀀스가 생성되고 스텝 입력 보기로 넘어가 시퀀스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
오디오 트랙의 클립을 누르면 아무 변화도 없습니다.
씬 실행 버튼을 다시 누르면 현재 시퀀스로 돌아갑니다.
-
Launchkey의 트랜스포트 섹션은 공통 DAW 제어 옵션: 트랜스포트 내 설명에 기반하여 작동하는데, 녹음 버튼은 예외입니다.
Launchkey의 공통 DAW 제어 에 더해, Logic Pro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화된 통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플러그인 DAW 모드에서는 Launchkey의 인코더가 현재 선택된 플러그인이나 인스트루먼트에 대해 Logic Pro의 스마트 제어 옵션을 제어합니다.
인코더를 이동하면 트랙 이름과 파라미터, 해당 값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
|
플러그인이나 인스트루먼트에 스마트 제어 옵션이 8개 이상이라면 인코더 뱅크 버튼을 사용해 추가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작은 정보
Logic의 왼쪽 위 모서리를 통하거나 사용자 Mac 키보드 위 단축키 'B'를 사용하여 Logic Pro의 스마트 제어 옵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Logic Pro의 믹서 인코더 모드에는 세 페이지가 있으며, 첫 번째 두 페이지는 공통 DAW 믹서 모드, 볼륨, 팬(Launchkey Mk4 - DAW Control: Mixer Mode 참조) 을 다룹니다. Logic에는 EQ 플러그인을 위한 추가 페이지가 있습니다.
EQ 믹서 모드에 접근하려면 인코더 뱅크 내림 버튼을 사용합니다. 해당 트랙에 EQ 플러그인이 없다면 믹서 EQ 모드로 이동하여 현재 위치한 트랙에 EQ 플러그인을 추가합니다.
믹서 EQ 모드에 들어가면 화면에 믹서 EQ가 일시적으로 표시되며, 믹서 EQ 모드에서 인코더를 움직이면 화면에 트랙 이름, EQ 파라미터 및 값(주파수(Hz) 또는 게인(dB)) 이 표시됩니다.
Logic의 믹서 EQ 인코더 모드 들어가기. |
인코더 5로 중고 EQ 밴드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
EQ 믹서 모드에서는 인코더가 다음 Logic Pro EQ 제어 옵션들을 매핑합니다.
인코더 |
파라미터 |
화면 이름 |
---|---|---|
1 |
밴드 2 주파수 |
로우 쉘프 |
2 |
밴드 2 게인 |
로우 쉘프 |
3 |
밴드 4 주파수 |
중저음역 |
4 |
밴드 4 게인 |
중저음역 |
5 |
밴드 6 주파수 |
중고음역 |
6 |
밴드 6 게인 |
중고음역 |
7 |
밴드 7 주파수 |
하이 쉘프 |
8 |
밴드 7 게인 |
하이 쉘프 |
작은 정보
EQ 모드를 기억하는 요령: 홀수 번호의 인코더는 밴드의 주파수를 제어하며, 짝수 번호의 인코더는 밴드의 게인을 제어합니다.
Logic Pro에서 DAW 패드 모드는 두 하위 모드로 나뉩니다:
-
믹서 (선택/암/솔로/음소거)
-
Live 루프
하위 모드를 변경하려면 기능 버튼을 누릅니다.
하위 모드를 변경하면 해당 패드 기능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
|
믹서 모드를 통해 패드로 선택, 레코드 암, 솔로, 음소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1 페이지에서 맨 윗줄 패드가 선택된 트랙을 제어하며 해당 패드에 트랙 색 불이 켜집니다. 맨 아랫줄 패드는 레코드 암 상태를 제어하는데, 레코드 암이 적용된 트랙에는 밝은 빨간색 불이, 레코드 암이 적용되지 않은 트랙에는 어두운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2 페이지에서 맨 윗줄 패드는 트랙 솔로 옵션들을, 맨 아랫줄 패드는 트랙 음소거 옵션들을 제어합니다.
선택/암 및 솔로/음소거 사이를 변경하려면 패드 ˄ 올림 및 ˅ 내림 탐색 버튼을 누릅니다.
Logic의 선택/암 모드 내 Launchkey의 패드 |
Logic의 솔로/음소거 모드 내 Launchkey의 패드 |
선택/암은 디폴트 패드 모드입니다.
< 트랙 및 트랙 > 을 사용하여 단일 트랙 단위로 이동하거나 트랙 뱅킹을 사용하여 패드가 제어하는 트랙 8개 단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전송이나 '마스터' [sic] 트랙도 믹서 모드에서 나타납니다. 다른 트랙들과 같은 방식으로 음소거/솔로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Live 루프 모드에서는 Launchkey가 개별 루프 및 씬 버튼을 제어하여 루프 한 줄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맨 윗줄 패드들은 사용자의 루프를 제어합니다.
맨 아랫줄 패드들은 씬을 제어합니다.
맨 윗줄 패드들은 선택된 트랙의 루프를 나타냅니다. 이 패드들의 색은 루프의 색과 일치합니다.
트랙 1이 선택된 상태에서 Logic Live 루프 세션 |
루프 색을 표시하는 패드 |
작은 정보
Logic Pro 내 색상을 변경하려면 '보기 >'에 가서 '색상 보기 >', '루프 선택하기 >'를 누르고 색상을 클릭하여 루프 색을 변경합니다.
패드를 누르면 루프가 재생됩니다. 루프가 재생되는 동안 패드에 녹색 불이 느리게 깜빡입니다.
루프를 중지하려면 재생 중인 루프의 패드를 누릅니다.
같은 줄에서 다른 패드를 누르면 다음 루프로 넘어갑니다. 다음 루프는 Live 루프 윈도우의 오른쪽 위에 있는 '퀀타이즈 시작' 옵션 설정 상태에 맞추어 시작됩니다.
루프를 녹음하려면 비어 있는 루프 슬롯(불이 꺼진 패드) 을 누릅니다. 루프가 녹음되는 동안 패드에 빨간색 불이 켜지며, 패드를 다시 한 번 누르면 루프 녹음이 중지되고 루프 재생이 시작됩니다.
맨 아랫줄 패드를 누르면 씬이 트리거됩니다. Logic Pro의 Live 루프에서 씬은 루프 한 줄입니다(즉, 각 트랙으로부터의 루프)
Logic Pro 라이브 루프 씬 버튼은 해당 페이지 아래쪽에 있습니다. 주황색 막대가 패드 8개에 해당하는 씬들을 표시합니다.
Launchkey 61의 맨 아랫줄 패드는 Logic Logic Live 루프 씬을 트리거합니다.
참고
씬을 트리거해도 비어 있는 루프 슬롯 내 녹음은 트리거되지 않습니다.
재생 중인 루프의 패드에는 녹색 불이 느리게 깜빡여 활성화 상태를 표시합니다. 트랙 탐색시(Logic Pro의 Live Loops 모드 탐색하기 참조) 루프가 씬 재생의 일환으로 재생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의 공통 DAW 제어 에 더해, Cubase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화된 통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Launchkey의 기본 설정은 다음 모드들입니다:
-
인코더 모드 - 플러그인
-
패드 모드 - DAW
-
페이더 모드 - 볼륨
Launchkey 내 각 인코더의 제어 옵션 관련 정보를 보기 위해 Cubase 윈도우 아래쪽에 MIDI 리모트로 가면 다음 사항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정보
Steinberg의 '고급 오디오 프로덕션' DAW인 Nuendo를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제어 방식은 Cubase와 동일합니다.
플러그인 모드에서는 Launchkey 인코더가 Cubase의 Quick Control 8개를 매핑합니다.
Cubase의 퀵 컨트롤 기능은 트랙별로 작동합니다. 선택된 트랙을 변경하면 인코더가 해당 트랙을 위해 설정한 퀵 컨트롤로 매핑합니다.
작은 정보
Cubase 내 각 트랙별 퀵 컨트롤 지정을 셋업하려면 Cubase 사용자 가이드 내 트랙 퀵 컨트롤 섹션 을 참조하세요.
Cubase의 MIDI 리모트 섹션에서 퀵 컨트롤 지정 옵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코더를 이동하면 Quick Control의 이름과 값이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Cubase의 믹서 인코더 모드에는 세 페이지가 있는데, 처음 두 페이지는 공통 DAW 믹서 모드인 볼륨과 팬(Launchkey Mk4 - DAW Control: Mixer Mode 참조) 을 다룹니다. Cubase에는 채널 스트립의 EQ 섹션을 제어하는 추가 페이지가 있습니다.
Cubase의 EQ를 제어하려면 인코더 뱅크 버튼을 사용해 믹서 EQ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인코더가 믹서 EQ 모드에 있으면 인코더가 다음 사항들을 매핑합니다:
인코더 |
파라미터 |
화면 이름 |
---|---|---|
1 |
밴드 1 주파수 |
Lo 주파수 |
2 |
밴드 1 게인 |
Lo 게인 |
3 |
밴드 2 주파수 |
LMF 주파수 |
4 |
밴드 2 게인 |
LMF 게인 |
5 |
밴드 3 주파수 |
HMF 주파수 |
6 |
밴드 3 게인 |
HMF 게인 |
7 |
밴드 4 주파수 |
고주파수 |
8 |
밴드 4 게인 |
높은 게인 |
작은 정보
Cubase 채널 스트립을 열려면 MixConsole로 가서 조정하려는 트랙에 대해 '채널 설정 편집' 버튼
DAW 패드 모드에는 패드에 관한 두 페이지가 있습니다.
-
1 페이지 - 선택 및 암 제어
-
2 페이지 - 음소거 및 솔로 제어
패드 왼쪽에 있는 ˄ 올림 및 ˅ 내림 버튼을 사용해 페이지 사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변경하면 패드가 제어 중인 설정이 화면이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
|
선택/암 페이지에서 맨 윗줄은 트랙 선택을 제어하며 패드에 트랙 색 불이 켜집니다.
맨 아랫줄은 해당 트랙에 대한 레코딩 암 설정을 제어합니다. 트랙에 레코드 암이 설정되어 있으면 패드에 밝은 빨간색 불이, 레코드 암이 설정되지 않으면 어두운 빨간색 불이 켜집니다.
트랙 1 이 선택되고 레코드 암 상태가 표시되는 Cubase |
선택된 트랙 및 패드 위 레코드 암 상태를 반영하는 Launchkey 61 패드들 |
2 페이지에서 맨 윗줄은 믹서 솔로를 제어합니다. 트랙이 솔로되어 있으면 패드에 밝은 분홍색 불이, 솔로되어 있지 않으면 어두운 분홍색 불이 켜집니다.
맨 아랫줄 패드는 음소거를 제어합니다. 음소거된 트랙인 경우 패드에 밝은 노란색 불이, 음소거되지 않은 트랙인 경우 어두운 노란색 불이 켜집니다.
MixConsole 트랙들 위에 믹서 음소거와 솔로 상태가 표시되는 Cubase |
패드들의 믹서 음소거 및 솔로 상태를 반영하는 Launchkey 61 패드들 |
Launchkey의 공통 DAW 제어 에 더해, FL Studio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화된 통합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플러그인 모드에서 Launchkey의 인코더를 사용해 특정 플러그인 내 파라미터를 8개까지 제어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FL Studio 플러그인은 Launchkey의 인코더 모드를 지원합니다.
참고
Launchkey이 FL Studio 플러그인에 매핑하는 파라미터들은 고정된 프리셋 매핑입니다. 외부 플러그인의 경우 사용자 정의 인코더 모드를 사용해 나만의 매핑을 만들 수 있습니다.
믹서 인코더 모드에서는 Launchkey이 FL Studio 채널 랙, 믹서, EQ를 제어합니다. 제어 옵션은 5 페이지로, 인코더 뱅크 버튼을 사용하여 제어 옵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
믹서 모드 |
---|---|
1 |
채널 랙 볼륨 |
2 |
채널 랙 팬 |
3 |
믹서 볼륨 |
4 |
믹서 팬 |
5 |
EQ |
DAW 패드 모드에서는 채널 랙을 한번에 최대 16개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패드는 C5 노트를 사용해 트리거할 수 있는 단일 채널을 나타냅니다. 패드에는 해당 채널을 지정한 채널의 색이 적용됩니다.
패드를 누르면 FL Studio가 채널을 선택하고 오디오를 트리거합니다. 그러고 나면 패드에 흰색 불이 들어와 선택된 채널을 나타내며, 채널의 이름이 화면에 잠시 표시됩니다. 해당 하드웨어로부터 한 번에 한 채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FL Studio 내 선택된 채널이 없을 때 FLkey에 표시됩니다.
패드 레이아웃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쪽에서 위쪽까지 두 줄로 8개가 배열되어 있습니다. 아래 행의 채널들은 채널 랙/팬/볼륨 포트 레이아웃과 일치합니다.
또한 Launchkey'에스 공통 DAW 제어Bitwig Studio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다음 통합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녹음은 어레인저 녹음을 켜거나 끄거나, 클립 런처 오버더빙을 켜거나 끕니다.
컨트롤러 상태 창에서 녹음 버튼 할당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Bitwig Studio의 런처 보기에 있을 때 패드 왼쪽에 있는 위쪽 또는 아래쪽 버튼을 눌러 런처에서 이전 또는 다음 장면을 선택하세요.
이전 또는 다음 트랙을 선택하려면 누르세요. 길 <>. 8개 트랙씩 뱅크하려면 Shift 키를 누른 채 트랙 <>를 누르세요.
대부분의 경우, 인코더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Launchkey 따르다 일반적인 DAW 인코더 모드. 리모컨. 또한, 플러그인 컨트롤을 통해 Bitwig의 플러그인/장치, 트랙 리모컨 또는 프로젝트 리모컨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인코더 모드를 변경하려면 다음을 누르세요. 옮기다 그리고 상단 행에 표시된 패드 중 하나를 누르세요. 인코더 모드.
잡고 있다 옮기다 그리고 누르세요 플러그인 인주 원격 제어 모드를 선택하세요.
Bitwig Studio에서는 세 가지 유형의 리모컨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플러그인/장치
-
원격 추적
-
프로젝트 리모트.
보유 옮기다 그리고 누르다 플러그인 패드가 그 사이를 순환합니다.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인코더 오른쪽에 있는 위쪽 또는 아래쪽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전환하세요.
잡고 있다 옮기다 그리고 누르세요 믹서 패드를 사용하여 믹서 모드를 선택하세요.
인코더는 현재 선택된 트랙 뱅크의 볼륨이나 팬을 제어합니다.
인코더 오른쪽에 있는 위 또는 아래 버튼을 눌러 볼륨과 패닝 사이를 전환합니다. 또는 옮기다 그리고 누르세요 믹서 두 옵션 사이를 전환하려면 패드를 사용하세요.
잡고 있다 옮기다 그리고 누르세요 보냅니다 전송 모드를 선택하세요.
인코더는 현재 선택된 8개 트랙 뱅크의 효과 전송을 제어합니다.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인코더 오른쪽에 있는 위쪽 또는 아래쪽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전환하세요.
패드 모드를 변경하려면 옮기다 그리고 아래쪽 행에 표시된 패드 중 하나를 누르세요. 패드 모드.
사용 가능한 패드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DAW 패드 - 클립 런처/시퀀서 모드
-
드럼 패드 - 드럼 모드
잡고 있다 옮기다 그리고 누르세요 갈가마귀 클립 런처 패드 모드를 선택하려면 패드를 사용하세요 - 1. 화면에 다음이 표시됩니다. 패드 모드: 런처 1/2.
패드를 사용하여 런처에서 클립을 트리거하거나 녹화합니다.
패드 색상은 클립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
불이 꺼짐 - 빈 슬롯
-
클립 색상 - 클립이 재생되지 않습니다
-
녹색 (깜박임) - 클립 재생 시작 예정
-
녹색 (맥동) - 현재 재생 중인 클립
-
빨간색 - 클립 슬롯은 녹음 준비가 되었습니다.
-
빨간색 (깜박임) - 녹화를 시작하려는 클립
-
빨간색 - (맥동) 클립, 현재 녹음 중
시퀀서 모드를 사용하면 Bitwig Studio의 클립 런처에 있는 클립을 만들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립 런처에서 클립을 선택할 때 트랙을 선택하세요.대시보드 > 설정 > 동작에서.
패드를 사용하여 현재 선택된 클립에 대한 노트를 입력하고 편집합니다.
드럼 머신 장치가 있는 악기 트랙에서는 먼저 키보드에서 편집할 드럼 노트를 선택한 다음, 패드를 눌러 클립에 노트를 입력합니다. 다른 드럼 악기에도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다른 모든 악기 트랙에서는 음표를 다성음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에서 하나의 음표나 코드를 누른 상태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패드를 눌러 해당 음표를 해당 단계에 할당합니다. 마지막으로 연주한 음표나 코드가 기억되므로, 음표나 코드를 연주한 후 패드를 눌러 음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또는 패드를 먼저 누른 상태에서 키보드에서 음표를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패드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현재 선택한 클립에 16단계가 넘는 경우, 패드 왼쪽에 있는 위쪽 또는 아래쪽 버튼을 눌러 클립 페이지를 탐색하세요.
클립 길이를 늘리려면 편집할 클립 페이지를 선택하세요. 메모를 입력하기 시작하면 클립이 자동으로 늘어납니다.
클립 선택 모드에서 패드 왼쪽에 있는 위 또는 아래 버튼을 눌러 이전 또는 다음 장면을 선택합니다.
>를 눌러 클립 선택 모드로 들어갑니다. 패드에 현재 포커스가 맞춰진 영역에 있는 클립이 표시됩니다.
패드를 눌러 편집할 클립을 선택하세요. 클립이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클립이 없으면 새 클립이 생성됩니다.
잡고 있다 기능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패드를 눌러 노트를 복사합니다. 화면에 '복사됨'이 표시됩니다.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 기능, 다른 패드를 눌러 노트를 붙여넣으세요. 화면에 '붙여넣기 완료'라고 표시됩니다.
잡고 있다 기능 위쪽 버튼을 누르면 클립의 내용이 두 배로 늘어납니다.
잡고 있다 기능 아래쪽 버튼을 눌러 클립의 그리드 해상도를 다양하게 전환합니다.
패드를 눌러 드럼 머신 장치에서 음을 연주합니다. Launchkey의 왼쪽 하단 패드는 드럼 머신의 왼쪽 하단 드럼 셀에 해당합니다. 기본적으로 패드는 MIDI 채널 10을 통해 C1 신호를 전송합니다.
패드는 트랙 색상(기본값) 또는 드럼 셀에 지정된 색상으로 희미하게 켜집니다. 드럼 셀이 비어 있으면 패드는 켜지지 않습니다.
드럼 셀이 트리거되면 패드가 더 밝은 색으로 켜집니다. 현재 선택된 셀은 밝은 흰색으로 켜집니다.
당신은 당신의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 61 다른 다양한 DAW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 수준은 다소 낮지만, HUI를 사용하면 일부 주요 기능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HUI 모드의 기능은 일반 DAW 제어 섹션과 다릅니다.
HUI(Human User Interface)는 MIDI 컨트롤러가 별도의 컨트롤러 스크립트 없이도 DAW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MIDI 프로토콜입니다. 전용 스크립트가 없는 경우, DAW에서 HUI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기본 기능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믹서 제어(볼륨, 팬, 음소거/솔로)
-
전송 제어(재생, 정지, 녹화)
-
트랙 선택
당신은 당신의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 61여러 DAW에서 HUI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DAW에서의 설정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대부분의 DAW에서 설정 단계는 비슷합니다.
-
리퍼(부분 HUI)
-
스튜디오 원
-
프로 툴스
-
로 가다 Pro Tools > 설정 > 주변 장치…
-
'를 클릭하세요MIDI 컨트롤러' 탭:
-
아래에 '유형', 선택하다 후이:
-
아래에 '에서 받다', 선택하다:
-
윈도우: 미리 정의된 > MIDIIN2(Launchkey 61 MIDI) [에뮬레이션].
-
맥OS: 미리 정의된 > Launchkey 61 DAW 아웃
-
-
아래에 '보내기', 선택하다
-
윈도우: 미리 정의된 > MIDIOUT2 (Launchkey 61 MIDI) [에뮬레이션].
-
macOS: 미리 정의됨 > 미리 정의됨 > Launchkey 61 DAW 인.
-
-
올바르게 설정된 경우 설정은 다음과 일치해야 합니다.# Ch의' 8로 설정:
-
'를 클릭하세요좋아요'.
키보드 제어
-
'를 클릭하세요스튜디오 원' 화면 상단에 있습니다.
-
'를 클릭하세요옵션'.
-
'로 이동외부 장치'.
-
'를 클릭하세요추가하다'.
-
'를 클릭하세요새로운 키보드'.
-
세트 '에서 받다' 그리고 '보내기'에게 Launchkey 61'에스 MIDI 포트 (첫 번째 항목):
-
할 수 있게 하다 'MIDI 클럭 보내기' 그리고 'MIDI 클록 시작 사용'.
-
'를 클릭하세요좋아요' 창 하단에 있습니다.
이제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 61 MIDI/악기 트랙을 녹음하기 위한 표준 MIDI 키보드.
DAW 제어
-
'를 클릭하세요스튜디오 원' 화면 상단에 있습니다.
-
'를 클릭하세요옵션'.
-
'로 이동외부 장치'.
-
'를 클릭하세요추가하다'.
-
'를 선택하세요맥키 > HUI왼쪽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하세요.
-
세트 '에서 받다' 그리고 '보내기'에게 Launchkey 61'에스 DAW 포트 (두 번째 항목):
-
미디인2 그리고 미디아웃2 윈도우에서.
-
갈가마귀 맥에서.
-
-
'를 클릭하세요좋아요' 창 하단에 있습니다.
이제 당신은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키보드로 MIDI/악기 트랙을 녹음하고 믹서를 조종하세요.
외부 장치에서는 두 가지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Launchkey 61 장치.
HUI 구현은 DAW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사항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DAW 모드 – 패드 제어 음소거/솔로.
-
믹서 모드 – 인코더 제어 팬.
-
전송 모드 – 인코더 제어 AE를 보냅니다인코더 뱅크 버튼은 다양한 전송 사이를 전환합니다.
-
항해– 트랙 < 그리고 트랙 > 트랙 간 이동. 모든 모델에서 Shift 키를 누른 채 트랙 버튼을 누르면 8개 트랙으로 구성된 뱅크 간 이동이 가능합니다.
-
전송 컨트롤은 DAW의 해당 전송 기능에 매핑됩니다.
-
Shift 키를 누른 채 인코더를 움직이면 값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인코더 매개변수가 화면에 미리 표시됩니다.
-
페이더 1~8은 현재 트랙 뱅크의 볼륨 레벨을 제어합니다.
일부 DAW에서는 페이더 9가 메인 출력 트랙을 제어합니다.
-
버튼으로 선택/암을 제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