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unchkey에 있는 제어 영역에 관해 다음 섹션들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인코더
-
패드
-
트랜스포트 및 워크플로우 버튼
Launchkey의 인코더에는 8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모드를 변경하려면 시프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1-8번 패드 중 하나를 누릅니다.
일부 모드는 DAW 사용시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추가 정보는 사용자 DAW 관련 섹션을 참조하세요.
사용 가능한 인코더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드럼 패드 번호 |
모드 |
사용 가능 여부 |
---|---|---|
1 |
플러그인 |
DAW 모드에서만 가능 |
2 |
믹서 |
DAW 모드에서만 가능 |
3 |
전송 |
DAW 모드에서만 가능 |
4 |
트랜스포트 |
DAW 모드에서만 가능 |
5 |
사용자 정의 1 |
항시 가능 |
6 |
사용자 정의 2 |
항시 가능 |
7 |
사용자 정의 3 |
항시 가능 |
8 |
사용자 정의 4 |
항시 가능 |
현재 인코더 모드에 해당하는 패드에는 밝은 분홍색 불이 켜지며, 선택 가능한 다른 모드들에는 어두운 분홍색 불이 켜집니다. DAW 모드 전용 등 선택할 수 없는 모드들에는 불이 꺼집니다.
인코더 모드에 들어가면 해당 제어명과 선택된 모드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Novation Components에서 생성한 사용자 정의에 부여한 이름이 모드명이 됩니다. 추가 정보를 보시려면 Novation Components이란?을 방문하세요.
Launchkey에는 사용자 정의 모드가 4개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를 통해 제어 영역의 맞춤화된 MIDI 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각 제어 영역이 전송하는 메시지는 Novation Components 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인코더를 이동하면 파라미터의 이름과 값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파라미터 이름은 Components에서 설정할 수 있으나, 설정된 이름이 없는 경우 MIDI 메시지의 도착지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디폴트 인코더 사용자 정의 모드 이름 |
사용자 정의 이름이 있는 인코더 |
사용자 정의 모드마다 인코더 제어가 두 페이지씩 있습니다. 다른 페이지에 접근하려면 인코더 오른쪽에 있는 'Bank Next(다음 뱅크)' 또는 'Bank Previous(이전 뱅크)' 버튼을 누르세요.
디폴트 페이지는 1 페이지입니다. 1 페이지에서는 '다음 뱅크' 버튼에만 불이 켜져 2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음을 표시합니다. 2 페이지에서는 '이전 뱅크' 버튼에 불이 켜져 1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음을 표시합니다.
인코더 페이지를 변경할 때는 현재 위치한 페이지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Launchkey의 패드에는 8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모드를 변경하려면 시프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패드 9-16번 중 하나를 누르세요.
일부 모드는 DAW 사용시에만 사용 가능합니다. 추가 정보는 사용자 DAW 관련 섹션을 참조하세요.
드럼 모드가 디폴트 설정 모드이며, 패드 모드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드럼 패드 번호 |
모드 |
사용 가능 여부 |
---|---|---|
9 |
DAW(공통 DAW 제어 참조) |
DAW 모드에서만 가능 |
10 |
항시 가능 |
|
11 |
항시 가능 |
|
12 |
코드 맵 |
항시 가능 |
13 |
항시 가능 |
|
14 |
항시 가능 |
|
15 |
항시 가능 |
|
16 |
항시 가능 |
마지막으로 선택된 패드 모드에 밝은 파란색 불이 켜집니다. 다른 모드 옵션들에는 어두운 파란색 불이 켜지며, 선택할 수 없는 모드들에는 불이 꺼집니다.
새로운 패드 모드에 들어가면 해당 제어명과 선택된 모드가 화면에 일시적으로 표시됩니다.
DAW 패드 모드 |
사용자 정의 이름이 있는 사용자 정의 패드 모드 |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Novation Components에서 생성한 사용자 정의에 부여한 이름이 모드명이 됩니다. 추가 정보를 보시려면 Components 를 방문하세요.
드럼 패드 모드를 선택하면 패드들이 MIDI 노트를 트리거합니다. 기본적으로 노트들은 MIDI 채널 10과 더불어 C1에서 D♯2(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 까지 배열됩니다.
드럼 모드에서는 사용자 DAW 외 영역과 트랙 색 패드들에 파란색 불이 켜집니다. 패드들은 연주될 때 불이 켜집니다.
코드 맵 모드에서 Launchkey의 패드 및 인코더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스케일에 맞는 코드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코드 맵이 기반하는 몇 가지 주요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 맵에 접근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맵 버튼인 패드 12번을 누릅니다.
-
가장 왼쪽의 패드 8개인 코드 패드들로 선택된 스케일에 맞춘 코드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 패드 8개를 누르면 코드가 트리거됩니다. 접근 가능한 코드는 8개이지만 각 코드 맵을 통해 스케일에 맞춘 코드 40개에 각각 접근할 수 있습니다.
-
가장 오른쪽의 패드 6개인 퍼포먼스 패드들을 사용해 다른 방법들로 코드를 연주할 수 있습니다(예: 아르페지에이터 또는 인버전). 퍼포먼스 패드를 사용하려면 퍼포먼스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파란색 코드 패드를 눌러 퍼포먼스 효과가 있는 코드를 재생합니다(전체적인 퍼포먼스 효과를 들으려면 코드 패드를 여러 번 눌러야 할 수 있습니다).
-
인코더를 통해 코드를 변경하는 파라미터인 Adventure, Explore, Spread, Roll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Adventure와 Explore 파라미터를 바꾸면 코드 8개의 뱅크 40개에 접근할 수 있으며, Spread와 Roll 파라미터는 코드가 소리 나는 방식을 바꿉니다.
참고
Launchkey Mini 25의 코드 모드는 키와 동일한 MIDI 채널에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코드 모드는 MIDI 채널 3으로 노트를 전송합니다. 이를 변경하려면 설정으로 가서 → 코드 채널이 보일 때까지 ˄ 올림 및 ˅ 내림 버튼을 누른 다음 → 패드나 인코더 1을 사용해 채널을 설정합니다.
코드 맵을 통해 사용자가 스케일 모드를 사용해 선택한 스케일과 키를 맞추는 코드 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재생하면 화면에 코드 이름과 더불어 해당 코드가 트리거하는 키보드 노트의 시각적 정보가 표시됩니다.
코드 세트와 그에 맞춰진 스케일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코드 세트 |
스케일 |
---|---|
Major |
Major Major Pentatonic Whole Tone |
Minor |
Minor Minor Pentatonic Blues Melodic Minor Hirajoshi Kumoi Hungarian Minor |
Dorian |
Dorian Dorian #4 |
Mixolydian |
Mixolydian |
Lydian |
Lydian Lydian Augmented Lydian Dominant |
Phrygian |
Phrygian In Sen Iwato Pelog-Selisir Half Whole Diminished |
Locrian |
Locrian Super Locrian |
Harmonic Minor |
Harmonic Minor Bhairav Whole Half Diminished |
Harmonic Major |
Harmonic Major |
Phrygian Dominant |
Phrygian Dominant Pelog-Tembung 8 tone Spanish |
각 코드 세트는 코드 뱅크 40개로 구성됩니다. Explore와 Adventure로 구성된 코드 뱅크 표가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각 파라미터를 높일 때 코드 뱅크를 가로지르며 진행됩니다. Adventure와 Explore 파라미터가 높을 수록 그에 따라 발생하는 코드가 극적이 됩니다.
맨 오른쪽 패드 6개(패드 6-8 및 14-16) 는 코드 맵 퍼포먼스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퍼포먼스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누릅니다. 퍼포먼스 패드를 누르고 있으면 코드 재생 방식이 변경됩니다.
퍼포먼스 패드를 사용하려면 오른쪽에 있는 퍼포먼스 패드(이 경우 스플릿: 왼쪽 및 오른쪽) 를 길게 누르거나 래치한 다음 코드 패드를 누르면 퍼포먼스 요소가 있는 해당 코드가 연주됩니다.
퍼포먼스 패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코드를 변경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관련 섹션을 참조하세요.
패드 |
반응 |
---|---|
6 |
|
7 |
|
8 |
스플릿: 베이스 + 코드 - 코드 패드를 두 번 누르면 베이스 노트가 연주되며, 그후 나머지 코드 노트들이 연주됩니다. |
14 |
|
15 |
|
16 |
참고
한 번에 퍼포먼스 패드 하나씩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누르고 있지 않기 위해 퍼포먼스 패드를 래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씬 실행 버튼 > 을 누르면; 래치 기능이 켜집니다.
-
래치하고자 하는 퍼포먼스 패드를 누릅니다.
래치 기능이 켜져 있으면 씬 실행 버튼 >'에 흰색 불이 켜지고 퍼포먼스 패드가 켜짐과 꺼짐 사이를 토글합니다.
래치 기능을 끄면 모든 퍼포먼스/모디파이어 패드가 비활성화됩니다.
수동 아르페지에이터 퍼포먼스 모드(두 가지 모드: 수동 아르페지에이터 올림과 수동 아르페지에이터 내림) 를 사용하면 코드 패드가 코드를 재생하는 대신 패드를 누를 때마다 코드의 각 노트가 재생됩니다. 예를 들어, 3개의 노트 코드(3화음) 를 연주하려면 코드 패드를 3번 눌러 해당 코드 내 노트를 모두 연주해야 합니다.
코드를 변경하거나 퍼포먼스 패드를 해제하면 아르페지에이터 순환이 리셋됩니다.
수동 아르페지에이터 올림 모드에서는 코드 노트들이 해당 코드의 가장 낮은 노트에서 가장 높은 노트로 순환하며 재생된 후 리셋됩니다.
C Major 코드의 경우 노트는 C, E, G입니다; 수동 아르페지에이터 올림 기능은 C, E, G, C, E, G 등의 순서로 노트를 재생합니다.
인버전 퍼포먼스 패드를 통해 코드 패드가 재생될 때마다 다른 코드 인버전을 통해 연주할 수 있습니다. 음악에서 코드 인버전은 루트 코드(코드의 이름, 예: C)가 더는 베이스나 코드 내 가장 낮은 노트가 아닌 상황에서 코드를 연주하는 다른 방법입니다.
이 기능을 위해 인버전 퍼포먼스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누를 때마다 코드 내 노트들이 가장 낮은 노트에서 시작하여 위(인버전 올림) 나 아래(인버전 내림) 방향으로 재생됩니다. 모든 노트들이 재생된 후(네 번 누른 상태) 에는 원래 코드로 리셋됩니다.
새로운 코드를 연주하거나 퍼포먼스 패드를 해제하면 순환이 리셋됩니다.
인버전 올림을 누른 상태에서는 C Major 3화음(C, E, G) 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인버전 내림을 누른 상태에서는 C Major 3화음(C, E, G) 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활동 |
코드 출력 |
---|---|
퍼포먼스 패드 없이 재생되는 코드 패드 |
C3, E3, G3 |
인버전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1번 누름 |
C3, E3, G2 (두 번째 인버전) |
인버전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2번째 누름 |
C3, E2, G2 (첫 번째 인버전) |
인버전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3번째 누름 |
C2, E2, G2, (옥타브 내림) |
인버전 패드를 누른 상태에서 코드 패드를 4번째 누름 |
C3, E3, G3, (원래 코드, 순환이 리셋됨) |
사용자 코드 모드로 나만의 코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코드에 접근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드럼 패드 11번을 누릅니다.
사용자 코드 모드에 들어갔을 때 추가한 코드가 없는 경우 패드들이 비어 있습니다. 다음은 패드 5개에 코드를 추가한 예시입니다:
코드를 연주하려면 파란색 패드를 누릅니다. 코드를 연주하는 동안 패드에 흰색 불이 켜집니다.
참고
Launchkey Mini 25의 코드 모드는 키와 동일한 MIDI 채널에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코드 모드는 MIDI 채널 3으로 노트를 전송합니다. 이를 변경하려면 설정으로 가서 → 코드 채널이 보일 때까지 ˄ 올림 및 ˅ 내림 버튼을 누른 다음 → 패드나 인코더 1을 사용해 채널을 설정합니다.
사용자 코드를 패드에 지정하려면:
-
비어 있는 패드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화면에 키보드가 표시됩니다.
-
키보드 위에서 원하는 노트를 눌러 코드를 지정합니다. 코드 전체를 연주하거나 각 노트를 개별적으로 연주(예: 한 손으로 연주할 수 없는 코드)할 수도 있습니다. 최대 노트 6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추가 노트는 Launchkey가 인식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추가한 노트들과 코드 이름이 화면에 표시됩니다.
-
패드를 해제합니다.
패드에 현재 위치한 사용자 코드 뱅크 색의 불이 켜집니다. 사용자 코드 뱅크 변경 을 참조하세요.
사용자 코드 모드에서 패드 왼쪽에 있는 ˄ 올림 및 ˅ 내림 버튼을 사용해 사용자 코드 뱅크 전체를 조옮김할 수 있습니다.
반음 하나 단위로 조옮김하려면 올림 또는 내림 버튼 중 하나를 누릅니다. 위아래로 최대 12 반음(옥타브 1개) 까지 조옮김할 수 있습니다.
옥타브 1개(12 반음) 단위로 조옮김하려면 시프트를 누른 상태에서 올림 또는 내림 버튼을 누릅니다. 위아래로 최대 3 옥타브까지 조옮김할 수 있습니다.
Launchkey에는 사용자 정의 모드가 4개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를 통해 제어 영역의 맞춤화된 MIDI 메시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각 제어 영역이 전송하는 메시지는 Novation Components 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를 활성화하면 패드들이 출력하는 사용자 정의 메시지를 Components에서 셋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패드를 누르면 화면에 파라미터 이름과 값이 표시됩니다. 파라미터 이름은 Components에서 설정할 수 있으나, 설정된 이름이 없는 경우 MIDI 메시지의 도착지(예: CC 21)가 화면에 표시됩니다.